1966년부터 1976년 사이에 중국의 젊은이들은 낡은 관습, 낡은 문화, 낡은 풍속, 낡은 사상 등 '4대 올드'의 국가 숙청을 위해 일어섰다.
1966년 8월 마오쩌둥은 공산당 중앙위원회 플레넘에서 문화대혁명의 시작을 요구했습니다. 그는 "홍위병"의 군단을 만들어 당 간부들과 부르주아적 성향을 보이는 모든 사람들을 처벌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마오쩌둥은 자신의 대약진 정책의 비극적인 실패 이후 중국 공산당의 반대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이른바 '위대한 프롤레타리아 문화혁명'을 촉구하려는 동기가 있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마오는 다른 당 지도자들이 자신을 소외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때문에 일반 국민인 지지자들에게 문화대혁명에 동참할 것을 직접 호소했습니다. 그는 또한 자본주의 사상을 멀리하기 위해서는 공산주의 혁명이 연속적인 과정이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마오쩌둥의 부름에 학생들은 응답했습니다. 그들은 스스로 홍위병 제1군으로 조직되었는데 그 중에는 초등학생인 어린 학생들도 있었습니다. 이 어린 홍위병들은 나중에 노동자들, 군인들과 합류하게 됩니다.
홍위병의 첫 번째 대상은 불교 사원, 교회, 모스크 등이었는데, 이 사원은 파괴되거나 다른 용도로 개조되었습니다. 종교상이나 다른 예술품들과 함께 유교적 글뿐만 아니라 성서들도 불태워졌습니다. 중국의 공산주의 혁명 이전의 물건이라면 어떤것도 파괴할 수 있었습니다.
홍위병들은 열정적으로 "반혁명" 혹은 "부르주아"로 간주되는 사람들을 박해하기 시작했습니다. 1966년 8월과 9월, 베이징에서만 1,800명 가까운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1967년 2월까지 중국은 혼란에 빠졌습니다. 숙청은 문화대혁명의 과도함에 감히 반론을 펴는 육군 장성급에 이르렀고, 홍위병들은 서로 등을 돌리고 거리에서 싸우고 있었습니다.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은 홍위병에게 인민해방군(PLA)의 무기를 기습할 것을 권유하고, 필요할 경우 아예 군대를 교체할 것까지도 독려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1968년 12월이 되자 마오쩌둥조차 문화혁명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미 대약진으로 약해진 중국 경제는 심하게 흔들리고 있었기에 더 이상의 혼란은 막아야 했습니다. 산업생산은 2년 만에 12%나 감소했습니다. 마오쩌둥은 더이상 홍위병들이 날뛰는 것을 막기 위해 군대를 동원해 진압하고 도시 출신의 젊은 간부들을 농촌에 보내 농민에게서 다시 배우고 살도록 하는 "상산하향"(上山下鄕) 을 선포했습니다. 이러한 사상을 사회를 평준화하는 도구로 삼았지만, 사실 마오는 홍위병들이 더 이상 그렇게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없도록 전국에 분산시키려는 의도가 숨어 있었습니다.
최악의 거리 폭력사태가 끝난 후 6, 7년 동안의 문화대혁명은 주로 중국 공산당 고위층 권력투쟁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1971년까지 마오와 그의 2인자인 린 뱌오는 서로 암살 시도를 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몆차례 마오에 대한 암살기도가 있고 난 후인 1971년 9월 13일, 린과 그의 가족을 태운 소련행 비행기가 몽골 상공에서 추락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과 전 세계는 깜짝 놀랐습니다. 공식적으로는 연료가 바닥났거나 엔진 고장이 발생으로 발표했지만 여전히 중국이나 소련 관계자에 의해 격추됐다는 추측이 돌고 있습니다.
마오는 빠르고 늙어 가고 있었고, 건강도 나빠지고 있었습니다. 후계 구도의 주역은 부인 장칭이었습니다. 장칭을 포함해 4인방(四人帮 )으로 불린 실권자들은 문화대혁명 기간에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며 중국의 언론 대부분을 장악했고 덩샤오핑과 저우언라이 같은 온건파들을 비난했습니다. 정치인들은 정치적 정적을 숙청하는데 힘을 쏟았지만, 중국인들은 계속된 정쟁에 흥미를 잃고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저우언라이는 1976년 1월에 사망했고, 그의 죽음에 대한 대중의 슬픔은 4인방에 대한 시위를 넘어 마오에 대한 시위로도 이어졌습니다. 4월에 저우언라이의 추도식을 위해 무려 200만 명의 사람들이 천안문 광장에 모여들었고, 조문객들은 마오쩌둥과 장칭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난했습니다. 그해 7월 탕산 대지진은 비극에 직면한 공산당 지도부에 지도력 부족이라는 결정타를 날려 국민들의 지지를 더욱 잃게 됩니다. 장칭은 심지어 라디오에 나가 지진으로 인해 덩샤오핑에 대한 비난이 분산되지 않게 해달라는 발언을 해 보는 이로 하여금 아연실색하게 만들었습니다.
마오쩌둥은 1976년 9월 9일 사망했습니다. 마오가 선택한 후계자 화궈펑이 4인방을 체포함으로써 문화대혁명의 종말을 예고했습니다.
문화대혁명의 10년 동안 중국의 학교는 운영되지 않았고, 전체 세대는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습니다. 교육받은 사람들과 전문직 종사자들은 모두 재교육의 대상이 되어 있습니다. 살해당하지 않은 사람들은 농촌으로 분산되어 농장을 전전하거나 노동 수용소에서 일했습니다
박물관이나 민가에서 가져온 온갖 고물과 유물은 구시대의 상징으로 파괴되거나 소실되었습니다. 값비싼 역사, 종교서적도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살해된 정확한 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수백만명은 아닐지라도 적어도 수십만은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티베트 불교도, 후이족, 몽골인 등 소수 민족과 종교의 구성원들은 각자 큰 고통을 겪었습니다.
끔찍한 실수와 잔혹한 폭력은 중국의 역사에서 종종 발견됩니다. 문화대혁명은 이러한 최악의 사건들 중 하나인데, 이는 인간이 겪었던 끔찍한 고통 때문만이 아니라 중국의 뛰어난 고대 문화들을 자신들의 손으로 파괴한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에도 막부 | 현재의 일본의 기반 에도 막부 개괄 (0) | 2020.03.11 |
---|---|
몽골 제국 | 세계 최대의 영토를 지배하다 (0) | 2020.03.11 |
세종대왕 |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뛰어난 성군 (0) | 2020.03.10 |
청나라는 어떻게 멸망했는가 (0) | 2020.03.09 |
청일전쟁 | 동아시아의 지배자가 바뀌다 (0) | 2020.03.09 |